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7

구독경제란 무엇이며, 이제는 생활 전반에 스며든 구독서비스 (feat. 넷플릭스) 예전에 학교 앞이나 동네마다 레코드 가게가 있던 시절, 카세트테이프가 길게 늘어지도록 음악을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다 들으면 친구들끼리 서로 돌려가며 듣기도 하고, 좋아하는 가수의 음반이 나올 때마다 레코드 가게 앞에 가서 줄을 서서 기다리던 아날로그 시절의 기억입니다. 이제는 레코드 가게를 찾아보기도 힘들어 카세트테이프는 손에 없지만 우리는 여전히 음악을 듣고 있습니다. 레코드 가게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화하였고, 카세트테이프는 스트리밍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음반을 '소유'했던 시절에서 음악을 '경험'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음반을 '소유'했던 시절에서 이제는 음악을 '구독'하는 행위로 바뀌었습니다. 즉, 소유 경제에서 이제는 구독경제로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 2023. 11. 27.
미국의 3대 주식시장과 주가지수 (feat. NYSE, NASDAQ, AMEX) ✔ 미국의 경우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아메리카증권거래소와 같은 주식시장이 존재하며, 다우존스, S&P500, 러셀 2000 등 다양한 주가지수가 존재합니다. 미국의 3대 주식시장 :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아메리카증권거래소 우리나라에는 코스피, 코스닥 등의 주식시장이 존재합니다. 마찬가지로 미국에도 여러 주식시장이 존재합니다. 각 주식시장마다 포함된 주식 종목이 다르고, 그에 따른 특징도 다릅니다. 그럼 미국의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3개의 시장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뉴욕증권거래소(NYSE, New York Stock Exchange) 금융 선진국인 미국 답게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증권거래소입니다. 전 세계 시가총액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2022년 기준 시가총액 27조 달러(우리나라 돈.. 2023. 11. 26.
한국은행도 준비중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CBDC (feat. 카카오 블록체인 그라운드X) ✔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란❓ 각 나라의 중앙은행(우리나라는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전자화폐로서 중앙은행이 주체가 되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 2010년 10월에 바하마(남아메리카 쿠바 북쪽위치)에서 세계 최초의 CBDC인 Sand Dollar를 발행해서 실제로 사용 중이며, 2020년 BIS(국제결제은행)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65개 중앙은행 中 CBDC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인 나라는 86%입니다. 국가가 주체가 되어 만들기 때문에 국가에서 공인한 자산이라는 안전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현금처럼 가격 변동이 적고 안정적인 가치를 지니기에 현금에 준하는 안전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처럼 투기 자산이 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2023. 11. 25.
기업의 공식적인 데뷔 무대 IPO : 기업공개 (feat. LG엔솔, 카카오페이) IPO(Initial Public Offering)란 ❓ IPO(기업공개)는 비상장기업이 코스닥시장이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을 원하는 민간 기업에게 공식적인 데뷔 무대인 중요한 금융 이벤트입니다. 기업이 처음으로 투자자에게 주식을 제공하여 자본을 조달하고 주식 시장에서 상장 기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먼저 IPO프로세스를 안내하고 인수 서비스를 제공할 투자 은행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기업은 재무제표를 준비하고 감사를 받으며 규제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지 확인합니다. 회사의 가치를 평가받고 결정하고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고, 회사를 홍보하고 잠재 투자자에게 투자 사례를 제시합니다. 그러고 나서 주식을 발행하고 증권 거래소에 상장하는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게 되면 기.. 2023. 11. 24.
헤지펀드란 무엇이며, 헤지펀드의 전략과 바라보는 시선들 ✔ 헤지펀드란 무엇인가❓ 헤지펀드는 투자자에게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적극적으로 관리되는 투자 펀드입니다. 이 펀드는 최소 투자 요건이 높고 복잡한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교한 투자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투자 전략을 사용해 리스크는 줄이며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거대 펀드입니다. 헤지펀드(Hedge Fund)란? 헤지펀드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자면 다양한 투자 전략과 기법으로 리스크는 최대한 회피하며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펀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헤지(Hedge)'라는 단어는 울타리를 의미합니다. 공격적으로 투자를 하면서도 투자 전략을 잘 세워 리스크를 줄인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헤지 = 리스크.. 2023. 11. 23.
주식시장의 3대 플레이어 : 개인과 기관 그리고 외국인 개인 : 우리 같은 '개미' 소액투자자 주식 관련 뉴스나 신문에서 많이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는 바로 '동학개미', '서학개미', '개미군단'이라는 단어인데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개인투자자들은 투자 규모는 작지만 그 수가 굉장히 많아서 몰려다니는 '개미'에 빗대어 표현하곤 합니다. 일반적으로 개인투자자들은 투자금액이 적고 투자 정보 수집에도 기관과 외국인에 비해 한계가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각자 모아 둔 자금으로 투자를 합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특히 '개미'의 힘이 강했습니다. 주식투자 열풍이 거세 '동학개미운동'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2020년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되면서 경기가 악화되고 모든 경제가 움츠려 들고, 기업들의 주가가 곤두박질쳤습니다. 그러자 각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내.. 2023. 11. 22.
테이퍼링이란 무엇이며, 왜 실시하며, 효과와 위험에 대해 알아보자(feat. 출구전략) ✔ 테이퍼링(tapering)이란❓ 테이퍼링은 크기나 강도면에서 무언가의 점진적으로 감소 또는 감소를 의미합니다. 날씨에서 폭풍우로 내리던 비가 서서히 가늘어질 때 테이퍼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테이퍼링은 중앙은행이 실시하던 자산매입 규모를 줄여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정책입니다. 테이퍼링, 양적완화에서 나오는 출구전략 테이퍼링이라는 단어는 원래 '가늘게 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주로 마라톤에서 쓰이던 용어 이기도 합니다. 선수들이 강도 높은 훈련을 소화하다가 대회가 가까워지면 컨디션 조절과 마인드 컨트롤을 위해 강도를 서서히 낮추는 걸 뜻합니다. 지금까지 지속해 오던 어떤 행위의 강도를 낮춘다는 의미입니다. 테이퍼링이란 말은 2013년 미국의 중앙은행이 연방준비제도(Federal .. 2023. 11. 20.
콜금리, CD금리, 코픽스금리, CP금리, 여신금리 너무나도 많은 금리 ✔ 금리란❓ 금리는 흔히 화폐에 붙는 이자를 금리라고 얘기합니다. 다른 사람의 돈과 상품을 이용하는 대가로 주고받는 돈과 상품의 사용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돈을 빌리면 갚기 전까지 돈으로 환산해 얻는 기대 수익이라고도 합니다. 금리는 우리의 밀접하고도 경제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내가 빌린 돈, 그리고 남한테 빌려준 돈, 전세보증대출금, 등 아주 밀접하게. 하나가 아닌 너무나도 많은 금리의 종류 ✔ 기준금리 : 여러 가지 금리 중 근간이 되는 금리 기준금리는 각 나라의 중앙은행(우리나라는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다른 모든 시중 금리들의 기준, 중심이 되는 금리. 우리나라는 한국은행 산하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연 8회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기준금리는 일반적으로 0.25% p 단위로 조정 .. 2023.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