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7

유럽연합을 이룬지 얼마 안되서 분열의 갈림길에 선 유럽국가들 유럽연합의 상징하는 깃발에는 12개의 별이 원을 그리고 있다. '12'라는 수는 '완벽함'을 나타내고, 원은 '통합'을 상징 합니다. 이 깃발의 상징처럼 현재 유럽연합은 무려 27개국이 통합되어 있는 지역공동체입니다. 원래는 28개국이었으나 2016년에 영국이 EU 탈퇴를 결정하면서(브렉시트) 27개국이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유럽연합이 지금과 같은 모습은 아니었습니다. 유럽 최초의 통합 기구는 1951년 프랑스, 독일 등 5개국으로 시작한 유럽석탄철강공동체입니다. 이후 유럽경제공동체, 유럽원자력공동체가 차례로 생겨났습니다. 세 개의 통합기구는 약 10년간 지속되다가 지금의 유럽공동체(EU)로 통합되었습니다. 유럽공동체는 6개국으로 시작했지만 회원국이 점차 늘어나면서 오늘날의 유럽연합이 탄생했습니다. 27.. 2023. 11. 1.
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 : 블록체인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미래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등장과 기존 금융거래 비트코인이라는 가상화폐에 대해 이제는 한 번쯤 다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 이야기할 블록체인 기술과 비트코인은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바로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탄생했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은 단순한 가상화폐가 아니며,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국적 불명)라는 묘령의 개발자가 만들었습니다.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비트코인으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중에서 금융과 가장 연관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기존의 금융거래 시스템을 한꺼번에 변화시킬 수 있는 아주 혁명적인 기술이라고도 이야기합니다. 그렇다면 기존 금융거래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금융거래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현재 우리는 금융.. 2023. 10. 31.
세계 2위 였던 일본의 경제위기,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됐을까? 일본 비극의 시작 : 플라자합의 한국을 설명할 때 떼어놓지 못하는 나라가 있다. 바로 일본. 옆나라지만 멀고도 가까운 일본은 한때 GDP 세계 2위 국가로서 경제 구모로 미국에 도전할 수 있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나라였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에 경기 침체로 '잃어버린 30년'이 시작되면서 GDP 2위 자리를 중국에게 울며 겨자 먹기로 내주었습니다. 당시 일본 경제의 붕괴는 전 세계적인 이슈였습니다. 근래에는 일본의 대지진이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우리나라 뉴스거리지만, 1990년대에는 일본의 경제 침체가 메인 뉴스로 다루어질 정도였습니다. 한국은 쳐다보지도 않고 잘 나가던 일본 경제는 어떻게 하다가 장기 침체의 길을 걷게 된 것일까요? '잃어버린 30년'의 시작은 1985년 「플라자합의」였습니다. 지.. 2023. 10. 30.
퇴직연금 제도유형별(DB, DC, IRP) 적립금 및 수익률 현황 퇴직연금 적립금 현황 ✔ 2022년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2021년 말(295.6조 원) 대비 40조 3천억 원 증가(13.6%)한 335조 9천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구 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적립금 ( 조원 ) 221.2 255.5 295.6 335.9 증감률 ( % ) 16.4 15.5 15.7 13.6 구 분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퇴직연금(IRP) 합 계 금액 ( 조원 ) 192.4 85.9 57.6 335.9 비율 ( % ) 57.3 25.6 17.2 100 ✔ 2021년 대비 증가폭은 확정급여형(DB)의 경우 20.9조 원 증가(12.2%). ✔ 확정기여.. 2023. 10. 29.
ETF(상장지수펀드)란 무엇이며, E로 시작하는 헷갈리는 금융상품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란?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거래소(Exchange)에 상장되어 일반 주식과 같이 거래(Traded)되는 인덱스펀드(Index Fund)입니다. ETF는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이면서, 증권시장에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으므로 주식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ETF는 펀드의 장점과 주식의 장점을 뽑아서 만든 금융상품입니다. 2023년 10월 기준 우리나라에 상장된 ETF는 약 800여 개이며, 순자산총액은 11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자산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주), 미래에셋자산운용(주), KB자산운용(주)를 비롯해 23개에 달합니다. 불과 3년 전만 해도 50조 원 규모였지만.. 2023. 10. 28.
영화 <빅 쇼트>와 공매도 기법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투자의 위험성 우리가 공매도한 사실을 광고해서는 안 돼요. 사람들을 놀라게 하지 말자고요 - 영화 중에서 -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를 배경으로 한 🎥영화 의 대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개봉해 화제가 되었으며, 크리스천 베일과 브래드 피트가 출연해 관심을 많이 받았습니다. 영화는 주인공들이 미국의 모기지론이 부실해질 것을 예상하고 공매도(short)라는 기법을 활용해 많은 돈을 버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마도 '공매도' 하면 이 영화가 떠오르기도 하고, 개념이 조금은 어려운 공매도를 아주 적절하게 표현해 준 영화이기도 합니다. 공매도란 무엇일까요❓ 공매도란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없는 것을 팔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TV에서도 나오는 옥순과 영순.. 2023. 10. 27.
세계를 주도하는 미국과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관계 ✔ 연방준비제도(FED, Federal Reserve System) 란❓ 👉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에서 결정하듯 미국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중앙은행에서 결정합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을 「연방준비제도」라고 합니다. 달러 통화량을 조절하는 미국의 중앙은행 : 연방준비제도 연방준비제도는 우리나라처럼 하나의 중앙은행이 아니라 「분권화된 중앙은행」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무려 12개의 연준이 미국 전역에 흩어져 있는데, 워싱턴에 있는 이사회가 이들을 총괄하는 형태입니다. 이사들은 총 7명 입니다. 대통령이 지명하고 상원이 승인하며 그중 한 명이 의장이 됩니다. 연준 의장은 우리나라로 따지면 한국은행장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2018년 2월부터 제롬 파월이 16대 의장을 맡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은.. 2023. 10. 26.
환율의 중요성과 세계경제의 연결고리 세계경제의 큰 흐름을 운명 짓는, 환율 :Exchange Rate 한국경제, 세계경제에 대한 뉴스나 유튜브를 보면 늘 항상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환율:Exchange Rate」입니다. 환율의 변화는 세계경제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세계경제를 이해하려면 환율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많이 들어왔던 단어이고 익숙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환율을 헷갈려하거나 어려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환율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어렵지 않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이 같은 통화를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전 세계가 모두 같은 통화를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원화를 사용하고, 일본은 엔화, 미국은 달러를 사용합니다. 이밖에도 위안화, 파운드화, 유로화 등 전 세계에는 수많은 .. 2023. 10. 25.
반응형